한국인의 밥상 466회


<6.25 전쟁 70주년 기획> 그날, 한 끼의 기억 


어머님! 전쟁은 왜 해야 하나요.

어서 전쟁이 끝나고 ‘어머니이!’하고 부르며 

어머님 품에 털썩 안기고 싶습니다.

..문득 상추쌈이 먹고 싶습니다.

찬 옹달샘에서 이가 시리도록 차가운 냉수를 

한없이 마시고 싶습니다.

..어머니 안녕! 안녕! 아, 안녕은 아닙니다. 

다시 쓸 테니까요.

-1950년 8월 전사한 학도병 이우근의 편지 중에서


1950년 6월 25일, 한반도를 뒤흔든 총성과 함께 

시작된 1129일간의 전쟁. 같은 민족끼리 서로를 

향해 총구를 겨누어야 했던 참혹한 전쟁 속에 

나라를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했던 수많은 

사람이 있었다. 이름도 명예도 없이, 맨몸으로 

포화 속을 누빈 사람들.  70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잊혀지지 않는 그 날의 아픔 속에는

 살아남기 위해 먹어야 했던 간절한 음식의 

기억들이 있다. 6.25 전쟁 70주년을 맞는 오늘, 

참혹한 전쟁의 기억 속 한 끼의 기억을 따라가며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평화를 염원하는 바람을 담는다.




■ 포화 속을 누비던 지게부대를 아시나요? 


◼  연천 소개된 곳

 

백학역사박물관  010-6214-6007


임진강이 흐르는 휴전선 접경 지역 연천군

 백학면 노곡리. 마을 사람들에겐 일터이고 

놀이터였던 곳이 순식간에 전쟁터로 바뀌고, 

38선으로 마을이 나뉘어 전쟁 초기부터

 마지막까지 치열한 전투가 펼쳐졌다. 

연천의 높은 고지에서는 끝없는 전투가 이어졌고

 ‘지게부대’라 불리던 노무단도 생겨났다. 

10대에서 60대까지 속한 노무단은 전투 현장을

 누비며 전쟁에 필요한 탄약과 식량 등 보급품을

 전달했다. 포탄이 쏟아지던 날도 최전방까지 

보급품을 전달해야 했던 그들은 무거운 짐을

 지고 산악지대를 매일 같이 누볐다. 지게부대원이 

전달한 주먹밥과 보급품은 전쟁터의 생명줄 역할을

 했다고. 전쟁의 참혹함을 기억하는 노곡리 마을 

사람들과 지게부대원 그리고 6.25 참전용사가

 한자리에 모이니 그때의 아픔이 하나둘 떠오른다. 

허기를 채우기 위해 먹었던 아카시아꽃구이와

 수수푸랭이, 소금국 그리고 간절했던 

보리주먹밥까지. 치열하게 전쟁터를 누볐지만 

기억되지 못했던, 하지만 우리가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할 전쟁의 숨은 영웅 ‘지게부대’를 만난다.  

  



 

■ 살아 남은 자의 슬픔

 – 군번 없는 영웅, 학도병 이야기 


 ◼ 장사상륙작전 소개된 곳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전화번호 054-730-7315 


전쟁 3개월 만에 낙동강 유역까지 밀린 전세,

 부족한 병역을 위해 전쟁터로 나선 소년들이

 있었다. 군번도 없이 전쟁터로 나섰던 학도병들.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낸 포항여중 전투와 

인천상륙작전 성공의 숨은 주역인 장사상륙작전은

 수많은 어린 목숨을 희생해야 했다. 당시 17살의

 나이로 포항여중 전투에 참전했던 손주형 씨와 

학도병들은 12시간여의 사투로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냈고, 포항시민들의 피란길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참혹하고 긴 시간 속 ‘어머니’를 외치며 

쓰러진 친구들은 끝내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일주일에 몇 번씩 치열했던 전쟁꿈을 꾼다는

 그는 평생 그날의 아픔을 잊지 못하고 살아왔다.

    

장사상륙작전 참전자도 그날의 악몽을 잊지 못한다.  

‘장사리 고지를 탈환하라’는 작전명령 174호. 

인천 상륙작전을 성공시키기 위해, 북한군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것이 목적이었던 이 작전으로 

수많은 학도병과 일반인이 목숨을 잃었다. 772명이

 타고 있던 문산호는 폭풍에 좌초되었고 수많은 

학도병이 높은 파도와 빗발치는 총알과 싸우며 

상륙해 작전을 이어 나갔다. 장사상륙작전에 

학도병으로 참전했던 류병추, 김재한 그리고 일반인

 지원자로 참전했던 배수용 씨는 상륙에는 

성공했지만 배급받았던 미숫가루와 건빵이 

바닷물에 다 젖어버려 이후에는 배고픔과의 

사투를 이어나가야 했다. 바닷물에 젖은 미숫가루와

 건빵을 먹고 배탈이 나기도 하고 흙 속에서 캐낸 

생고구마를 먹기도 했다고. 민가에서 밀가루를 

구한 날은 다 같이 모여 수제비를 끓여 먹고 먹을

 것이 아무것도 없었던 날은 된장만 먹기도 

했다는 그들. 어린 나이, 군번도 없이 전투에

 참전했던 그들의 70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만나본다. 




■ 종군화가, 절망 속에서 희망을 그리다 


◼  살롱드부산 소개된 곳  

 

살롱드부산 

연락처 010-5124-3624

(1950년대 레트로감성을 재현한 복합문화공간)


전 국토의 80%가 파괴된 한국전쟁은 전방과 후방, 

군인과 민간인이 따로 없는 그야말로 총력전이었다.

 민간인의 신분으로 전장을 누빈 사람 중에는

 화가들도 있었다.  전투 현장을 종군하며 전쟁의 

참상을 화폭에 옮긴 종군화가가 그들이다.

올해 102세의 이준 화가는 1950년 9월 우신출 화가,

 유치환 시인 등과 함께 종군에 나섰던 기억을 

아직도 생생하게 간직하고 있다. 민족의 참상을

 차마 그림으로 옮길 수 없었다고 말하는 그의

 증언처럼, 종군화의 대부분은 치열한 전투 뒤에

 숨은 전쟁의 또 다른 풍경들.


전장에서 돌아온 화가들도 모든 것이 파괴된

 폐허의 삶을 버텨야 하는 전쟁 같은 피난살이를

 피할 길이 없었다. 당대 모든 화가의 피난처가

 되어준 곳은 임시 수도 부산. 부두에 나가 노동을

 하기도 하고 도자기에 그림을 그려가며 생계를

 유지해야 했던 화가들. 힘든 피란 생활 중에도 

화가들의 열정은 식지 않았고 은박지와 천막 등에 

그림을 그리며 작품 활동을 이어나갔다. 

화가들뿐 아니라, 전국에서 모여든 피란민들로 

북적였던 부산에는 피난살이의 고단함을 달래주던 

당면국수, 밀면, 빈대떡 같은 길거리 음식들이 

오늘까지 남아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모든 피란민에게 잊혀지지 않는 음식이 

하나있다. 시장 골목, 길게 줄을 서서 먹던, 미군 

부대에서 나오는 음식의 찌꺼기들을 모아 끓였다

 해서 유엔탕이라고도 불렸던 바로 그 음식,

 꿀꿀이죽이다. 당시 경험자들의 구술을 통해 

재현해본 ‘꿀꿀이죽’과 돼지비계를 넣고 국물 

넉넉하게 끓였던 돼지국밥까지, 팍팍했던

 피난살이의 애환이 담긴 음식들을 만나본다.

     



■ 전쟁 그 후, 끝나지 않은 실향의 아픔 


50년 겨울 흥남을 출발한 미 화물선, 

메러디스 빅토리호.

메러디스 빅토리호는 민간인을 태운 마지막 

피난선으로, 정원이 60명밖에 안 되는 화물선에

 군수품을 버리고 14,000명의 피란민을 태워

 거제도로 도착한다. 누울 수도 앉을 수도 없는

 비좁은 배 안에서 5명의 아이가 태어났다. 

배 안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김치’라는 애칭으로

 불렸고, 그중 마지막으로 태어나 ‘김치 5’로 

불렸던 이가 바로 거제에서 수의사로 일하고 

있는 이경필 씨다.  아기가 있는 이경필 씨 부모님은 

장승포에서 가까운 옥화마을에 정착할 수 있게 

배려를 받는 등 따뜻한 환대를 받았고, 사진관을

 운영하며 일찍 자리를 잡았지만, 한시도 마음 편할

 날이 없었다. 길어야 보름일 거라며 고향을 떠난

 그 길이 마지막이 될 줄은 몰랐기 때문이다.

금방 다시 만날 거라며 사진 한 장 가져오지 못한

 부모님을 평생 그리워하며 살았던 부모님은 끝내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채 돌아가셨다. 고향이

 그리울 때면 끓여 먹던 당면 넣은 수제비

 ‘밀장국’과 가재미식해로 실향의 아픔을 달래며

 살아온 70년. 아버지는 사진관에도, 가게와 

식당을 할 때도 이름에 ‘평화’라는 단어를 잊지

 않았다. 평화만이 고향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전쟁의 참화 속에 기적처럼 

태어난 생명의 주인공인 이경필 씨, 부모님이 

남긴 유산처럼 70년 실향의 아픔이 담긴

 음식 속에서 위로와 희망을 발견한다. 


오랜 투병 중임에도 포항여중전투 참전 학도병으로

 본 방송에 출연, 증언해주신 손주형 님께서

 지난 20일 87세를 일기로 별세하셨습니다.

마지막까지 6.25전쟁을 증언해주시고 거룩한 삶을

 마치신 고(故) 손주형 님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심심한 애도를 삼가 표합니다. 


■ 제작 KP 커뮤니케이션 / 연출 최영일 / 작가 전선애

■ 2020년 6월 25일 목요일 저녁 7시 50분 ~ 8시 40분


[출처] kbs


반응형

+ Recent posts